맨위로가기

도쿠가와 미쓰사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미쓰사다는 1627년 기이국의 와카야마성에서 태어나 1667년 아버지 도쿠가와 요리노부로부터 기슈 번(와카야마 번) 번주 자리를 물려받았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후계자 경쟁에 참여하여 그의 딸 쓰루히메를 장남의 아내로 맞이하려 했으나, 쓰루히메가 요절하면서 실패했다. 번주로서 27개조의 법령을 제정하고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며, 농촌법을 제정하여 농업 진흥을 도모했다. 1705년 장남이 사망한 후, 같은 해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기슈 번은 그의 아들들이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슈번주 - 아사노 나가아키라
    아사노 나가아키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긴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형의 사망 후 기이 기슈번을 상속받고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아키 히로시마번의 번주가 되었다.
  • 기슈번주 - 아사노 요시나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사노 요시나가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 아사노 나가마사의 아들이며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등에 참전했고, 세키가하라 전투 후 와카야마 번주가 되었으며 도요토미 가문 몰락 후 암살설이 돌기도 했다.
  • 1627년 출생 - 이토 진사이
    이토 진사이는 1627년에 태어나 1705년에 사망한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주자학의 경전 해석 방식을 비판하고 고의학을 제창하며 『논어고의』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627년 출생 - 자크베니뉴 보쉬에
    자크베니뉴 보쉬에는 프랑스 성직자이자 사상가로, 왕권신수설을 옹호하며 루이 14세 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고, 웅변술의 대가로 평가받았다.
  • 기슈 도쿠가와가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마쓰다이라 요리즈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자이자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삼촌으로, 이요 사이조 3만 석을 받아 상근 교대를 하지 않는 정부 다이묘가 되었으며, 그의 사후 가독은 아들 도쿠가와 요리치가 계승하였다.
  • 기슈 도쿠가와가 - 기슈번
    기슈번은 세키가하라 전투 후 아사노씨의 영지였다가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상속받아 기이 도쿠가와 가문이 다스리게 되었고, 쇼군을 배출하며 막부와 관계를 유지했으나 재정난을 겪었으며, 판적봉환 후 와카야마 번으로 개칭, 폐번치현으로 와카야마현이 되었다.
도쿠가와 미쓰사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도쿠가와 미쓰사다
원어 이름徳川光貞
가몬Mitsubaaoi.svg
가몬 설명세 잎의 접시꽃 가몬
시대에도 시대
출생1627년 1월 28일
사망1705년 9월 25일
개명나가토미마루(長福丸) → 미쓰사다(光貞)
별명기이 미쓰사다(紀伊 光貞)
계명세이케이인덴니힌젠아쇼겐센손기타이산다이코지(清渓院殿二品前亜相源泉尊義對山大居士)
묘소와카야마현 조호지(長保寺)
관위종4위하 히타치노스케(従四位下 常陸介)
종3위 산기 우콘에노추조 곤추나곤(従三位 参議 右近衛権中将 権中納言)
종2위 곤다이나곤(従二位 権大納言)
증 종1위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쓰나 → 도쿠가와 쓰나요시
기이와카야마 번주
씨족기슈 도쿠가와가
부모아버지: 도쿠가와 요리노부
어머니: 나카가와 씨(理真院)
적모: 요린인(瑤林院) (가토 기요마사의 딸)
형제미쓰사다
이나바히메 (이케다 미쓰나카 정실)
마쓰다이라 슈리
도쿠가와 마쓰히메 (마쓰다이라 노부히라 정실)
마쓰다이라 요리쓰나
아내정실: 덴신인(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 친왕의 딸)
측실: 야마다 씨(瑞応院), 미야자키 씨(真如院), 조엔인(浄円院), 나카조 씨(聞是院)
자녀도쿠가와 미쓰히메
도쿠가와 에이히메
도쿠가와 쓰나노리
이쿠히메
도쿠가와 요리쓰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특기 사항
특기 사항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당주

2. 생애

1627년 기이국 와카야마성(和歌山城)에서 도쿠가와 요리노부의 측실 리신인(나카가와씨)에게서 태어났다.

1667년 아버지 요리노부에게서 번주 자리를 물려받아 31년 간 기슈 번을 통치하였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아들이 없자, 쓰나요시의 외동딸 쓰루히메(鶴姫)를 장남 쓰나노리와 혼인시켜 후계자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 했으나, 1704년 쓰루히메가 요절하면서 6대 쇼군 자리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에게 돌아갔다. 1705년 쓰나노리가 사망한 뒤, 같은 해 미쓰사다 또한 만 78세로 사망하였다.

문무 양면으로, 명률학(明律学)을 배워 형법(刑法)의 기초를 만들었고, 카노우코우에키(狩野興益)와 카노우탄유(狩野探幽)에게 사사하여 수묵화(水墨画)를 그리기도 하였다.

1677년 발표한 농촌법은 가신들의 반발을 샀으나 이후 와카야마 번의 기본법이 되었고, 1682년 재정 재건책으로 가중 지행 절지의 합리화, 1697년 검지와 명기장 정리, 1701년 정인에 대한 간구세 신설 등, 후에 요시무네 시대에도 계승된 정책을 시행하였다.[2]

2. 1. 출생과 성장

1627년 기이국 와카야마성에서 도쿠가와 요리노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요리노부의 측실 리신인(理真院)(나카가와씨)이다.[2] 어릴 적 이름은 조후쿠마루(長福丸)였다.[2] 1633년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로부터 편휘(偏諱)를 받아 '''미쓰사다(光貞)'''로 개명하였다.[2]

2. 2. 번주 시절

1667년 아버지 요리노부에게서 기슈 번주 자리를 물려받아 31년 동안 기슈 번을 다스렸다. 법령 27개조를 제정하고, 재정 재건책을 추진하는 등 번정 개혁에 힘썼다.[2] 검지와 명기장 정리를 통해 조세 제도의 기반을 다졌다.[2]

1677년 농촌법을 발표하여 농업 진흥을 도모했다. 이 농촌법은 가신들의 반발을 샀으나, 이후 와카야마 번의 기본법이 되었다.[2] 1697년 검지와 명기장 정리를 통해 조세 제도의 기반을 다졌다.[2] 1701년 정인에 대한 간구세를 신설하여 세수를 확보하였다.[2]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아들이 없자, 쓰나요시의 외동딸 쓰루히메(鶴姫)를 장남 쓰나노리의 아내로 맞아들여 후계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704년 쓰루히메가 요절하면서 6대 쇼군의 자리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에게 돌아갔다.[3]

와카야마 번주로서의 치세는 30년 11개월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에도 참부 16회, 와카야마 귀국 16회, 와카야마 재국은 총 16년이었다. 또한 은거 기간이 7년 3개월 있었고, 이 기간 동안 에도 참부 2회, 와카야마 귀국 3회였다.[3]

2. 3. 쇼군 후계자 경쟁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아들이 없자, 쓰나요시의 유일한 외동딸인 쓰루히메를 장남 쓰나노리의 아내로 맞아들여 쇼군 후계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자 하였다.[1] 그러나 쓰루히메가 요절하면서 6대 쇼군의 자리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에게 넘어갔다.[1]

2. 4. 사망

1705년 장남 쓰나노리가 사망한 뒤 같은 해 미쓰사다 또한 만 7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2] 기슈 도쿠가와 가문의 보다이지인 조호지(長保寺)에 안장되었다. 삼남 요리모토에 의해 장례가 치러졌으나, 요리모토 역시 병으로 급사하는 불행을 맞이하게 된다.[2] 이후 사남 요시무네가 기슈 번을 계승하였다.

3. 가족 관계

도쿠가와 요리노부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나카가와 씨이다. 정실은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의 딸인 덴신인이며, 측실로는 지오인(야마다 씨), 신뇨인(미야자키 씨), 오유리노 가타 등이 있었다.[1] 슬하에 도쿠가와 쓰나노리(기슈 번 3대 번주), 지로키치, 도쿠가와 요리모토(기슈 번 4대 번주), 도쿠가와 요시무네(기슈 번 5대 번주, 8대 쇼군), 미쓰히메(이치조 후유쓰네의 정실), 에이히메(우에스기 쓰나노리의 정실), 노리히메(사타케 요시미쓰의 정실) 등을 두었다.[1]

3. 1. 부모

3. 2. 정실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의 딸 덴신인(天真院)이다.[1]

3. 3. 측실

3. 4. 자녀

출생 순서이름생모비고
장남도쿠가와 쓰나노리(徳川綱教)지오인(瑞応院) 야마다 씨(山田氏)기슈 번 3대 번주,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딸인 쓰루히메와 결혼[1]
차남지로키치(次郎吉)생모 미상 [1]
삼남도쿠가와 요리모토(徳川頼職)신뇨인(真如院) 미야자키 씨(宮崎氏)기슈 번 4대 번주[1]
사남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오유리노 가타(お由利の方)기슈 번 5대 번주, 8대 쇼군[1]
장녀나카히메생모 미상
차녀미쓰히메(光姫)생모 미상이치조 후유쓰네(一条冬経)의 정실[1]
삼녀에이히메(栄姫)생모 미상우에스기 쓰나노리(上杉綱憲)의 정실[1]
사녀노리히메(育姫)생모 미상사타케 요시미쓰(佐竹義苗)의 정실[1]
오녀츠나히메생모 미상


  • 정실: 덴신인(天真院)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의 딸)

4. 평가

미쓰사다는 31년간 기슈 번을 통치하면서 법령을 정비하고 농업을 장려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겐로쿠 10년(1697년)에는 검지와 명기장을 정리하고, 은거 후인 겐로쿠 14년(1701년)에는 정인에 대한 간구세를 신설하는 등 재정 개혁을 통해 번 재정을 안정시키고 조세 제도의 기틀을 마련했다.[2] 이러한 정책은 후에 아들 요시무네의 정책에도 영향을 주어, 요시무네가 8대 쇼군으로 즉위한 후 개혁을 추진하는 데 기반이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미쓰사다의 치세가 에도 시대 중기 안정적인 번 통치의 모범 사례이며, 그의 정책이 아들 요시무네의 개혁 정치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한다.

5. 가계도

1. 도쿠가와 미쓰사다
2. 도쿠가와 요리노부
3. 나카가와
4. 도쿠가와 이에야스
5. 요쥬인
6. (정보 없음)
7. (정보 없음)
8.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9. 오다이노카타
10. 마사키 요리타다
11. 호죠
12. (정보 없음)
13. (정보 없음)
14. (정보 없음)
15. (정보 없음)
16.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17. 아오키
18. 미즈노 타다마사
19. 케이요인
20. 마사키 토키타다
21. 가스타니
22. (정보 없음)
23. (정보 없음)
24. (정보 없음)
25. (정보 없음)
26. (정보 없음)
27. (정보 없음)
28. (정보 없음)
29. (정보 없음)
30. (정보 없음)
31. (정보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5-05
[2] 서적 徳川吉宗の藩政改革と将軍就任 精文堂出版 2011
[3] 서적 紀州徳川家の参勤交代 精文堂出版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